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모바일 주메뉴 바로가기

강남구도시관리공단

꿈이 모이는 도시 미래를 그리는 강남

고객소통

혁신과 소통으로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와 상생하는 파트너
  • 직장인에게 그릿(grit)의 논지가 주는 도움

  • 작성자

    강한

    등록일

    2024-11-23

    조회수

    204

김주환 지음, 『그릿』, (주)쌤앤파커스(2013)


직장인에게 그릿(grit)의 논지가 주는 도움


그릿(grit)이라는 용어가 익숙하지 않아서 사전을 검색해 보았다. 영어 사전에서 grit은 ‘모래, 아주 작은 돌’, ‘투지, 기개’를 뜻하는 명사, ‘빙판에 모래나 소금 등을 뿌리다’는 뜻의 동사로 등재되어 있다.


여전히 잘 모르겠어서 생성형 AI에 문의한 결과, “초기에는 주로 물리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던 ‘grit’은 시간이 지나면서 비유적인 의미로 확장되었다. 1808년 미국 영어에서 처음으로 ‘용기, 정신력, 마음의 굳건함’이라는 의미로 기록되었으며, 이러한 비유적 의미는 물리적인 거친 입자의 특성을 인간의 정신적 강인함에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 돌아온다.


또한 “그릿(GRIT)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열정과 끈기를 의미하는 심리학 용어”로서 “미국의 심리학자 앤젤라 더크워스(Angela Duckworth)가 개념화한 이 용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그릿은 장기 목표에 대한 인내와 열정, 역경과 실패 앞에서 좌절하지 않고 끈질기게 견디는 마음의 근력,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힘을 의미하고, 그릿은 열정(목표를 향한 지속적인 관심과 열망), 끈기(어려움에 직면해도 포기하지 않는 인내력)로 구성된다.(* GRIT의 뜻에 대하여 perplexity 앱 pro에 질문한 결과를 편집 · 인용한다.)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이기도 한 저자 김주환의 책 『그릿』은 대체로 한국적 맥락에서 수험공부와 그릿의 관계에 대하여 논하고 있어서, 학업에 열중하고 있는 자녀를 키우고 있는 부모님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다. (결론적으로 자녀를 키우고 있지 않은 나에게는 큰 의미는 없는 책이었다는 생각도 든다.) 그럼에도 학교를 졸업한 뒤에도 삶은 시험과 공부의 연속임을 떠올려 보면, 직장인의 생활에도 그릿이 많은 의미가 있을 것 같다.


특히, 모든 능력의 원천으로서 소통, 친화력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183쪽), 자기조절력으로 불안을 극복하기,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자기동기력, 시험도 결국 소통이며, 등수가 아닌 계획 자체를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193~243쪽)은 주요한 키워드만으로도 직장인으로서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 2024년 11월

체육사업2팀 강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