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3 독감 예방접종의 모든것
독감 예방접종 시기는 언제? A형 독감? B형 독감?
갑자기 찾아온 독감주의보! 예방접종 받으세요!
독감 예방접종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 감기와 헷갈리지 마세요! 독감(인플루엔자)이란? - 감기와 독감, 엄연히 달라요!
- 독감의 원인균 : 감염자의 재채기, 기침 등으로 폐, 기도에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침투 → 독감 발생
- 감기의 원인균 : 리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 이런 증상이 있어요! 독감의 증상
바이러스 감염 후 1~4일 내 증상 발병!
- 오한·한기
- 102~103℉(약 39℃)에 이르는 고열
- 호흡기 증상(마른기침과 인후통 등)
- 메스꺼움, 구토
■ 독감 종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A, B, C형으로 나뉨
독감 종류 - 독감 종류, 상세 설명 제공 표A형 | B형 | C형 |
---|
· 유행 가능성이 높고 증상이 가장 심함 · 일반적인 독감 증상 (고열, 기침, 두통, 근육통) · 동물에게도 발병 가능 · 심한 무기력감, 급성 간염 발생 | · 유행 가능성이 적으며 몇 년마다 한 번씩 발병 · 일반적인 독감 증상 (고열, 기침, 두통, 근육통) · 사람에게만 발병 · 중이염, 폐렴, 간경변, 간암 발생 | 발병될 가능성이 작고 증상이 가벼움 |
※ C형 독감은 발병될 가능성이 작고 증상이 가벼움
■ 독감 예방접종 A to Z
Q1. 독감 예방접종 시기는?
- 독감은 12월에서 1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예방효과 지속 기간 및 항체 생성 기간을 고려해 9월 하순~ 10월 중순 사이, 늦어도 11월 안에는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Q2. 독감 예방접종은 매년 받아야 한다?
독감 예방접종 효과의 지속 기간은 6개월 정도이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다양한 돌연변이를 낳을 수 있으므로 매년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Q3. 독감 예방접종 대상자는?
· 병 때문에 아스피린을 오래 복용하는 어린이
· 당뇨병 등 신기능 장애, 만성 간질환, 혈액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 천식, 기관지확장증, 폐기종 등 만성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 류마티스성 심질환, 고혈압 등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 65세 이상의 노인
· 고위험군과 자주 접촉하는 의사, 간호사 기타 의료 종사자
· 독감이 유행하는 시기에 임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성
다음과 같은 분들은 대표적인 독감 예방접종 대상자이므로 독감 예방접종을 권고
보건복지부에서 2023-2024 절기 어르신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을 실시합니다.
- 사업대상 주민등록상 출생연도 기준 65세 이상 (1958. 12. 31 이전 출생자) | - 사업기간 75세 이상 : 2023.10.11.(수)~2024.4.30.(화) 70~74세 : 2023.10.16.(월)~2024.4.30.(화) 65~69세 : 2023.10.19.(목)~2024.4.30.(화) |
- 접종기관 지정의료기관 및 전국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 접종 방문 전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가능 여부를 확인하신 후, 접종대상자와 보호자는 마스크 착용하고 개인위생 수칙 등을 준수하여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 - 실시기준 이전 절기 접종력과 상관없이 매년 불활성화백신(0.5㎖) 1회 접종 |
다가오는 독감 유행에 대비하여 10월과 11월 사이에는 꼭 독감 예방접종을 받기로 약속해요!
<자료출처=강남구청 www.gangnam.go.kr>